11월은 정체가 아리송하다.
소속도 분명치 않다. 가을과 겨울의 고빗길에 있으니 말이다.
보기에 따라서는 11월은 저물어가는 가을이다.
그래서 晩秋라면 11월을 말한다.
그러나 밝게 갠 날이어야 가을의 서정(抒情)이 느껴진다.
을씨년스럽게 잔뜩 하늘이
찌푸린 날이면 바로 겨울의 황량(荒凉)함을 안겨주는 것이다.
같은 날씨도 사람에 따라 달리 느껴진다.
또한 똑같이 가을을 잘 노래하지만,
서양의 詩人들은 감미로운 낭만을 안겨주는 10월을 즐겨 부른다.
여기 비겨 한국의 시인들은 예부터 11월을 즐겨 불렀다,
청승맞은 생리 때문에서만은 아닐 것이다. 그저 구슬진 심경에 젖어 들게 하는 일들이 많았고,
또 그런 심경에는 11월의 계절이 제일 어울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느덧 11월 중순을 넘어 들었다.
아무렇지 않다가도 문득 두장 밖에 남지 않은 달력에 눈이 가면 갈피 잡을
수 없이 구슬찐 感傷(감상)에 사로잡히게 된다.
아름답던 단풍도 이젠 노란 색깔로 바뀌고 그나마 다 떨어져가며 있다.
이슬을 담은 菊花(국화)국화의 淸楚(청초)함도 텅 빈 들에 홀로 핀 장미꽃의 오만스러움도
모두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횟된 앙탈 같게만 보이는 그런 11월이 깊어만 가고 있다.
소속도 분명치 않다. 가을과 겨울의 고빗길에 있으니 말이다.
보기에 따라서는 11월은 저물어가는 가을이다.
그래서 晩秋라면 11월을 말한다.
그러나 밝게 갠 날이어야 가을의 서정(抒情)이 느껴진다.
을씨년스럽게 잔뜩 하늘이
찌푸린 날이면 바로 겨울의 황량(荒凉)함을 안겨주는 것이다.
같은 날씨도 사람에 따라 달리 느껴진다.
또한 똑같이 가을을 잘 노래하지만,
서양의 詩人들은 감미로운 낭만을 안겨주는 10월을 즐겨 부른다.
여기 비겨 한국의 시인들은 예부터 11월을 즐겨 불렀다,
청승맞은 생리 때문에서만은 아닐 것이다. 그저 구슬진 심경에 젖어 들게 하는 일들이 많았고,
또 그런 심경에는 11월의 계절이 제일 어울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느덧 11월 중순을 넘어 들었다.
아무렇지 않다가도 문득 두장 밖에 남지 않은 달력에 눈이 가면 갈피 잡을
수 없이 구슬찐 感傷(감상)에 사로잡히게 된다.
아름답던 단풍도 이젠 노란 색깔로 바뀌고 그나마 다 떨어져가며 있다.
이슬을 담은 菊花(국화)국화의 淸楚(청초)함도 텅 빈 들에 홀로 핀 장미꽃의 오만스러움도
모두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횟된 앙탈 같게만 보이는 그런 11월이 깊어만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