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이 가을이 익어간다. 뭣인가 소리 없이 사라져 가며있다. 그러나 가만히 귀를 모아보자. 뭣인가 들리는 소리가 있다. 낙엽이 지는 소리일까. 옛 영국인들은 1년을 여름과 겨울, 두 계절로만 나뉘었다. 가을이란 말이 생긴 것은 17세기 ‘초서’의 시대 부터였다.
그 후 가을을 다시 ‘수확의 계절’ ‘조락(凋落)의 계절’로 나누었다. 지금 매일같이 나누는 헐벗어가며 있다.
/따스함도, 즐거움도, 안락함도……. 그늘도, 햇빛도, 나비도, 벌도, 과실도, 꽃도, 잎도, 새도, 아무것도 없는....../ 조락의 계절인가 보다. 가지에서 떨어지는 한 잎, 또 한 잎이 노을을 받아 붉게 타 오른다. 이를 데 없이 아름다워 보인다. 감상(感傷)때문에서 만일까.
보잘 것도 없는 나무이기는 하다. 천더기자식처럼 구박받아 가면서도 자라나겠다고 발버둥치던 나무다. 햇빛을 못 받아 줄기가 밉상스럽게 비뚤어져 있다. 여러 번 된바람을 받았었나보다. 꺾인 자취가 보인다. 그래도 잎이 제법 무성할 때는 젊은이들을 위해 내일에의 화려한 꿈을 부풀려 주던 아늑한 터전이었다.
이제 나뭇잎이 다 떨어지면 그 앙상한 알몸에 서리가 맺힐 것이다. 얼어 죽을까? 나무는 좀처럼 죽지 않는다. 어린이들이 고사리 같은 손들로 정성스레 매만지던 나무다. 언젠가 하늘로 치솟는 아름드리 거목(巨木)이 되어주기를 어른들이 기원(祈願)하던 나무다. 손쉽게 죽을 리는 없다. 죽어서는 안 될 나무다.
그러나 새봄이 돌아오기 전에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때까지 기다리고만 있어야 할 것인지? 잎이 떨어져가는 가지 위에서 참새가 몸부림치고 있다. 뭣을 하고 있느냐고 어린이가 물었다./ 하늘이 떨어지고 있다. 그래 이 나무를 지키려는 것이다/ 고 참새는 대답했다. 어린이의 눈에는 가을 하늘을 그저 높다랗기만 했다. /설사 하늘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그 새 종아리로 막아질 수 있겠느냐/면서 어린이가 껄껄 웃었다./나라도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봐야 할 게 아니냐/ 고 참새는 대답했다. 그 참새도 언제까지 추위를 견딜 수 있겠는지.
지금은 조락(凋落)의 계절, 요즘처럼 세상이 재미없을 때 선뜻 찾아갈 수 있는 곳은 산(山)이다. 산에는 울창한 수목이 자라고 맑은 개울물이 흐른다. 온갖 새와 짐승들이 천연스럽게 뛰놀고 시원한 바람도 가지 끝에서 불어온다. 맑은 햇살과 싱싱한 숲 향기, 그리고 태고의 신비가 파랗다.
이렇듯 산에는 때묻지 않은 자연이 있고, 억지가 없는 우주의 질서가 있다. 그러니 세속에서 닳아지고 얼룩진 몸과 마음을 쉬려면 한적한 산을 찾게 된다. 어제는 경남, 배내골을 두번째 찾았고, 아침엔 아파트 산책로를 한 바퀴 돌며 지는 낙엽속에 가을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 후 가을을 다시 ‘수확의 계절’ ‘조락(凋落)의 계절’로 나누었다. 지금 매일같이 나누는 헐벗어가며 있다.
/따스함도, 즐거움도, 안락함도……. 그늘도, 햇빛도, 나비도, 벌도, 과실도, 꽃도, 잎도, 새도, 아무것도 없는....../ 조락의 계절인가 보다. 가지에서 떨어지는 한 잎, 또 한 잎이 노을을 받아 붉게 타 오른다. 이를 데 없이 아름다워 보인다. 감상(感傷)때문에서 만일까.
보잘 것도 없는 나무이기는 하다. 천더기자식처럼 구박받아 가면서도 자라나겠다고 발버둥치던 나무다. 햇빛을 못 받아 줄기가 밉상스럽게 비뚤어져 있다. 여러 번 된바람을 받았었나보다. 꺾인 자취가 보인다. 그래도 잎이 제법 무성할 때는 젊은이들을 위해 내일에의 화려한 꿈을 부풀려 주던 아늑한 터전이었다.
이제 나뭇잎이 다 떨어지면 그 앙상한 알몸에 서리가 맺힐 것이다. 얼어 죽을까? 나무는 좀처럼 죽지 않는다. 어린이들이 고사리 같은 손들로 정성스레 매만지던 나무다. 언젠가 하늘로 치솟는 아름드리 거목(巨木)이 되어주기를 어른들이 기원(祈願)하던 나무다. 손쉽게 죽을 리는 없다. 죽어서는 안 될 나무다.
그러나 새봄이 돌아오기 전에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때까지 기다리고만 있어야 할 것인지? 잎이 떨어져가는 가지 위에서 참새가 몸부림치고 있다. 뭣을 하고 있느냐고 어린이가 물었다./ 하늘이 떨어지고 있다. 그래 이 나무를 지키려는 것이다/ 고 참새는 대답했다. 어린이의 눈에는 가을 하늘을 그저 높다랗기만 했다. /설사 하늘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그 새 종아리로 막아질 수 있겠느냐/면서 어린이가 껄껄 웃었다./나라도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봐야 할 게 아니냐/ 고 참새는 대답했다. 그 참새도 언제까지 추위를 견딜 수 있겠는지.
지금은 조락(凋落)의 계절, 요즘처럼 세상이 재미없을 때 선뜻 찾아갈 수 있는 곳은 산(山)이다. 산에는 울창한 수목이 자라고 맑은 개울물이 흐른다. 온갖 새와 짐승들이 천연스럽게 뛰놀고 시원한 바람도 가지 끝에서 불어온다. 맑은 햇살과 싱싱한 숲 향기, 그리고 태고의 신비가 파랗다.
이렇듯 산에는 때묻지 않은 자연이 있고, 억지가 없는 우주의 질서가 있다. 그러니 세속에서 닳아지고 얼룩진 몸과 마음을 쉬려면 한적한 산을 찾게 된다. 어제는 경남, 배내골을 두번째 찾았고, 아침엔 아파트 산책로를 한 바퀴 돌며 지는 낙엽속에 가을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