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Think
앗! 성형수술
강갑준
2008. 7. 21. 10:26
동물은 거의가 수컷이 아름답게 생겼다. 더욱이 새의 경우는 그 아름다움이 극치(極致)에 이른다. 수탉이 그렇고 장끼(수꿩)가 그렇다. 공작새 경우는 더 말랄 나위가 없다. 이렇게 자연은 수컷에게 아름다운 생김새를 선물하고 있다. 다만 사람만은 남성(수컷)보다 여성(암컷)이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사람의 욕망은 한정이 없는 것이어서 가지면 가질수록 더 갖고 싶어 한다. 그래선지 여성들은 ‘더 아름다워 지고 싶다’ 고 별의별 애를 쓰고 있다. 성형수술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성형수술이 들어 여성들의 그런 욕망을 더 부추겨주고 있다. 말하자면 성향수술과 여성들의 욕망은 서로 맞물려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한때 일본에서 성형수술에 따른 우스갯소리가 나돈 적이 있었다. 미남(美男)청년과 미녀(美女)아가씨가 결혼해서 아기를 낳았다. 그런데 그 아기가 아버지도 어머니도 닮지 않은 못난이였다. 알고 보니 그 아버지도 어머니도 제얼굴이 아니라 성형수술로 고쳐 꾸민 미남 미녀라는 것이다. 그건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공자(孔子)의 훈계가 빛바래 버린 오늘의 세태(世態)를 읽어 보는 것 같은 익살이다.
‘몸과 머리카락 한 올도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감히 훼손시켜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는 것이 효도(孝道)의 첫 걸음이다’라는 옛 말씀도 있다. 몇 해 전에 세상을 뜬 구순(九旬) 선비는 그 가르침 그대로 부모에게 물려받은 소중한 몸을 행여 다칠세라 집안에 틀어박혀 독서(讀書)로 만년(晩年)을 소일했다고 한다. 그런 한편 얼마 전 성형수술로 더 예뻐지려다가 얼굴을 그르친 여성이 번민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과욕(過慾)이 빚은 끔찍한 결과라고나 할까.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孔子의 훈계는 아직 살아 있는 것이다.
사람의 욕망은 한정이 없는 것이어서 가지면 가질수록 더 갖고 싶어 한다. 그래선지 여성들은 ‘더 아름다워 지고 싶다’ 고 별의별 애를 쓰고 있다. 성형수술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성형수술이 들어 여성들의 그런 욕망을 더 부추겨주고 있다. 말하자면 성향수술과 여성들의 욕망은 서로 맞물려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한때 일본에서 성형수술에 따른 우스갯소리가 나돈 적이 있었다. 미남(美男)청년과 미녀(美女)아가씨가 결혼해서 아기를 낳았다. 그런데 그 아기가 아버지도 어머니도 닮지 않은 못난이였다. 알고 보니 그 아버지도 어머니도 제얼굴이 아니라 성형수술로 고쳐 꾸민 미남 미녀라는 것이다. 그건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공자(孔子)의 훈계가 빛바래 버린 오늘의 세태(世態)를 읽어 보는 것 같은 익살이다.
‘몸과 머리카락 한 올도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감히 훼손시켜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는 것이 효도(孝道)의 첫 걸음이다’라는 옛 말씀도 있다. 몇 해 전에 세상을 뜬 구순(九旬) 선비는 그 가르침 그대로 부모에게 물려받은 소중한 몸을 행여 다칠세라 집안에 틀어박혀 독서(讀書)로 만년(晩年)을 소일했다고 한다. 그런 한편 얼마 전 성형수술로 더 예뻐지려다가 얼굴을 그르친 여성이 번민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과욕(過慾)이 빚은 끔찍한 결과라고나 할까.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孔子의 훈계는 아직 살아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