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 Think

‘전쟁은 가장 잔인한 재앙이다’

                      -전쟁이 시작된 날, 어린이는 환한 얼굴에 밝은 모습이였다.-

      (사진은 '호치민 전쟁박물관'전시된 사진을 찍은 것이다.)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5박7일간 ‘하노이, 하롱베이, 비엔티엔, 루앙프라방, 시엠립, 호치민’을 둘러보고
      15일 새벽7시경 귀국했다.
      어느 노장스님이 일찍 잡은 계획이고 배려라서 어쩔 수 없이 다녀와야 하는 여행이었다.

     처음 가보는 곳이라, 가고 싶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날씨는 35-38도를 오르내려 후덥지근하고,
    그 더위에 체력이 바닥나 혼쭐이 났다. 이번 여행은 훑어보는 정도이고 기회가 되면 느긋하게 일정을
    챙겨 다시 가 보고 싶다.

                                -처참한 모습이다. 이런 사진을 누가 찍었을까? 죽은자를 든 모습이.... 전쟁 참상?-

 ‘호치민 전쟁박물관’을 보면서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
전쟁은 무슨 이유에서든지 인류에게 가장 잔인한 재앙이다. 이 사진들은 베트남이 주관적인 입장일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전쟁 참상이 참혹해 사진을 볼 수 없을 만큼 마음이 아팠다.
 이 전쟁을 누가 일으켰는지? 는 여러 설이 있다. 그러나 다만 여행속에 이런 참상의 사진을 보고
전쟁이 이런 것이다 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함이다. 이 사진을 어떻게 찍었고 어떤 경위로 보도가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기자정신의 발로라고 본다. 이 기자는 다만 미군들이 찍은 것을 입수하여 실상을 보도
세계적인 파문을 일으켰다. 고 기억된다.

필자도 ‘호지명’을 좋게 보지 않은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전쟁박물관을 보고 나서,
 우리나라 김구선생과 같은 오로지 국민을 생각하는 훌륭한 민족주의 지도자라는 느낌에 접근했다.
가이드 말에 의하면 정약용 ‘목민심서’를 탐독 우리나라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호치민 공직사회를 다스리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고 했다. 그래서 ‘호지명’은 생존시‘ 내가 죽으면 비석 등 숭배물을 설치 하지말라.’ 고 했으나.
민족주의자로서 베트남에 대한 그 뜻이 국민전체 뜻이라 동상을 건립하게 되었고,
어린이들이 국가의 자산이라며 출산을 장려하고
어린이들을 사랑했다고 한다. 동상에도 어린이를 같이 새겨 어린이들이 미래의 꽃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호치민’ 은 ‘사이공’이 월남전으로 패망이후 생겨난 이름이다.
 이곳에는 인구 중 60%가 젊은 청년들이라, 아시국가 중 제일로 희망의 나라로 꼽힌다고 한다.
 길가에는 오토바이를 탄 시민들이 거의 차선을 차지하고 정신없이 복잡하게 다니고 있어, 정신을 멍하게 했다.
 월남전 당시 한국군은 나트랑 또는 사이공에 비전투부대가 있었고, 채명신 파월 사령관은 영웅시 한다고 한다.
그 이유 중 하나가 파월사령관으로 월남 도착 후 작전권 행사를 놓고 미군들과 왈가왈부하는 자리를 박차며 퇴장해
 미군을 당혹스럽게 한 인물로 호치민 사회에 알려져 칭송 받고 있는 인물이라고 덧 붙였다.

루앙프라방에서 귀국길 비행기 시간 탓에 약 4시간 정도 ‘호치민’에 머물게 되었고 그 시 간에 승용차 편으로
호치민 시내와 이곳 전쟁 박물관을 들렸다. 그리고 ‘사진’은 전시사진을 찍은 것이다. 그러다 보니 선명치 못하다.
너무 가슴이 아파와 우리가 겪은 6.25사변을 떠 올리며 이 글을 쓴다.
다만 비슷한 점은 ‘중국’ 모택동과 김일성, 그리고 모택동과 ‘호지명’이 등장한 동시대 일이란 것이다.
 아이러니컬한 이야기가 된다.

               -어린이들이 놀라 울면서 어디론가 달려가고 있다. 이 사진은 퓨리쳐상을 받았다.-
                                         '총을 든 군인에게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모습인 것 같다.(?)-
                          -군인들이 사람을 줄로 엮어 어디론가 끌고 가고 있다. 이 다음엔 상상을....-
                            -장전한 총을 든 군인에 놀라 어린이 앉고 어머니인 듯한 여인은 놀라고 있는 모습이다.-
                         -군인들은 사람을 뒤로 하게 하고 팔을 뒤로 재치게 하고 있어 고함을 치고 있다.-
                        '호지명과 모택동이 환한 모습이다. 이 들 만남이 전쟁 발발 원인이 됐다고 한다.-
                      -어느 여인이 죽은자 앞에서 절규하고 있다.-
                      -미군 함대가 참전.... 그 위용을 들내고 있다.-
                     '호치민 전쟁박물관'에 출격사진에 대한 설명과 6.25동란에 대한 설명도 돼 있다. -                                    
                    미군들이 월남전에 파병되어 군함으로 입항하면서 성조기를 들고 나오고 있다.
                   
                     미국 대통령이 월남전을 규탄하면서 승리를 장담하면서, 군이들 사기를 북돋고 있는 모습이다.
                    
                    '월남전'이 끝나고 미군들이 귀국하는 모습이다. 개 한마리가 같이 돌아가는 것일까?
                    
                     '월남전'이 끝날 무렵인 것 같다. 캐네디 대통령과 맥나라마 국무장관이 전쟁에 대한 협의를 하고 있다.                   
                   '고엽제'로 어린이들이 이렇게 된 것이다. 어머니인 듯한 여인이 지켜보고 있다.
                   
                    -항공기에서 내려다 본 현재의 '호치민(사이공)'이다.
                   
                     -'오토바이'로 퇴근하는 시민들이 모습이 활기차게 보인다.-
                     
                     '호치민 전쟁박물관' 전경이다. 외국인 등 관광객이 보인다.-
                     
                     -전쟁에 참여했던 전폭기를 노획 전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