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병우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음의 고향(29) 제주 4.3 사건 희생자들이 원혼의 서린 '다랑쉬 오름', 용눈이 오름에서 바라본 정경이다. 가을인데 삭막하다. 유홍준 교수도 제주에 오면 가끔 이 오름에 올라 무언가 생각하고, 4.3사건 영혼들을 위로 한다고 '문화유산답사기'에 기록하고 있다. 높지는 안아도 오르기가 가파르다. 나이든 분들에게 헉헉 거리게 한다. 오름 초입에서 부터 폐다이어로 산책로를 조성해 놓았다. 정상에 오르면, 바로 앞에 '아끈 다랑쉬' 억새가 눈길을 사로 잡는다. 더보기 마음의 고향(22)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들떠 있다가 전화가 걸려와 통화하다 보면, 갑자기 풍경이 싹 없어져요. 풍경을 향하고 있던 시선에, 정신이 셔터가 탁 내려가죠. 육신과 영혼이 연결되어 있는 겁니다. 역시, 가을철에는 붉게 물든 단풍과 또 다른 유혹인 억새도 아름다움을 한몫한다. 제주 명소로 알려진 '용눈이 오름' 이달 말 까지 억새가 한창입니다. 특이하게 제주 억새는 필때부터 붉은 빛을 나타 냅니다. 무슨 한이 있는지(?) 아마도 소설을 쓰면 제주 4.3사건에 희생된 영혼들이 혼이 아닐까 상상을 하게 합니다. 이 '용눈이 오름'에서 "지슬"이란 4.3사건이 비화를 다룬 영화도 찍었으니까요, 언제보아도 '선'이 아름다움은 한국 제일입니다. 그래서 '여성'을 비유하기도 합니다. 특히 배병우 란 사진가도 이곳을 즐겨 찍.. 더보기 마음의 고향(52) 너무나 잘 알려진 용눈이 오름, 사진적으로 말하자면, 배병우교수가 오름이란 주제로 발표후, 고 김영갑 선생이 그토록 사랑하던 용눈이 오름, 명소가 되면서 1년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무려 30만명이란다. 이곳에서 제주 사람들이 4.3사건의 아픔을 표현한 '영화 지슬'이 촬영되면서 더 유명해졌다. 용눈이 오름은 남북으로 비스듬히 누워 부챗살 모양으로 여러 가닥의 등성이가 흘러내려 기인한 경관을 빚어낸다. 등성마다 왕릉같은 새끼 봉우리가 봉곳봉곳하고 뒤엔 돌담 둘린 무덤들이 얹혀져 있다. 용눈이 오름의 매력은 산세가 아기자기함에 있으며 그것은 산위에 감춰진 굼부리에서도 나타난다. 또 어미 굼부리가 안에 세쌍둥이 귀여운 새끼굼부리를 품고 있다. 배병우 교수는 선과 면을, 어느 산, 오름보다 너무 아름다워 40여.. 더보기 마음의 고향(20) 제주를 다녀왔다. 지난4일날 출발 9일 귀부하였다. '용눈이 오름' 변덕스런 날씨로 바람이 거세 혼이 났다. 정신이 번쩍 들고 돌아 왔다. 더보기 고향..나의 풍경(4) 명당일까요. '용눈이 오름' 중간에 산소(묘)가 있다. 오래된 산소인데, 그 시대 살만한 집인것 같다. 산담(묘를 보호하기 위해 돌담)을 잘 해 놓았다. 명당이라고 보고, 용눈이오름 중간에 모셨을 것이다. 이 자손들, 발복을 받아 과연 잘 살고 있을까?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