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 2013년이 간다 세월이 쏜살같습니다. 어제든가 했드니 벌써 올해가 저물어 갑니다. 12월 말이면 고향이 생각납니다. 왜 그런지. 그 센티멘탈한 이유를 모르고 산지가 오래입니다. 그곳에서 9살까지 유년시절을 보냈는데, 왜 요즘은 그리운지. 할아버님은 생전에 "사람들 앞에서든 혼자 있을 때든, 결코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 고 말씀하셨다. 나는 살면서 그 말씀을 생활의 철칙으로 삼고 살고 있습니다. 평범하면서도 무서운 말 입니다. 고향에 가면, 할아버님과 할머님이 함께 한 묘소를 찾습니다. 그리고 절을 합니다. 고향은 크게 말하면 절 하는 곳입니다. 이 그림도'제주'시흥포구' 입니다' 여름철에 집사람과 함께 반지락(조개)를 캐며 찍어둔 것 입니다. 이렇게 아름답습니다. 제주가 한라산이고 제주이여서 아름답다 합.. 더보기 또 다른 피사체(8) 비움은 마음의 비움과 존재의 비움에 대한 깨달음이다. 마음을 비우면 더 이상 구할 바가 없어진다. 산다는것은 비우고 비워서 마침내 마음의 크기를 깨닫게 될 그날의 아름다운 채움을 기다리는 것이다. 더보기 어느 날의 바다 어느 날의 바다였을 그곳, 이젠...., 푸른 파도대신 하이얀 모래 바람만이 가득하다. 어느 날의 바닷였을 그곳에서 또 다른 꿈을 꾸고 있는 바다를 만나다. 더보기 나의 늑골은 끈으로 묶여 있다 '나는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 그분 생각은 아직도 내 마음속에 살아 있다. 그것은 햇빛을 받으면 사라지는 수증기도 아니고, 바람이 불면 지워져 버리는 모래에 그린 모습도 아닌 까닭이다. 그것은 비석에 새겨진 이름...,할머니 그 비석이 없어지지 않은 한 지워지지 않도록 운명으로 정해진 이름인 까닭이다. 나의 할머니는 목련처럼 하얗고 질박한 분이었다. 더보기 봄 날은 간다 몇 년전 시인 100명에게 애창곡을 물었더니 '봄날은 간다'(손로원 작사, 박시춘 곡)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다. '시인 세계'의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노랫말'조사에서 였다' 대중가요가 시인들의 애송시 대접을 받은 셈이다. 천양희 시인은 '이 노래만 부르면 왜 목이 멜까'라고 했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라는 첫 구절을 부를땐 아무렇지도 않더니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따라 울던' 이 대목을 부르고 나면 나도 모르게 슬픈 무엇이 느껴졌고 눈물이 나려고 했다. '봄 날은 간다' 란 제목을 단 시도 많다. '이렇게 다 주어버려라/ 꽃들지고다/(....) /지상에 더 많은 천벌이 있어야겠다./ '봄 날은 간다'/고은은 봄날의 허무속에서 퇴폐와 탐미를 찿았다. 안도현은' 꽃잎과 꽃잎 사이 아무도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