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이야기

마음의 고향.. 제주를(1) 카메라를 들기전, 이런 글을 되 뇌어 봅니다. '높은 지위에 있을 때에는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잘 모른다. 그 자리에서 물러나 낮은 데서 보아야 비로소 그 위험을 알게 된다. 어두운데서 보면 해가 비치는 곳에 있는 자의 실태를 잘 볼 수 있다. 조용한 생활을 해본 후에야 지나치게 활동하는 것이 부질없음을 깨닫게 된다. 더보기
광안대교에서 아침 7시에 광안대교에서 열린 하프마라톤대회 취재차 오랫만에 광안대교를 걸었다. 해운대 장산터널을 지나 광안대교 진입코스여서 주탑까지 약 2.5Km를 걸으니 힘이 들었으나 기분은 좋았다. 주탑에 부산일보 김병집 선임기자가 기다리고 있었고, 높이 105m에서 '내가 이 높은 곳에 왜 왔을가?"하며,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가을 하늘을 높이보니. 마음은 두둥실~ 그저 상쾌하기만 했다. 이런 날이 얼마나 있을가.... 더보기
가을산은 언제나 그리움이다 인간이란 세월이 흐를 수록 슬픔이 늘어납니다. 용기나 희망보다 회한이 늘어납니다. 그걸 돌이킬수 없습니다. 지난해 가을 한라산 입니다. 오후 5시경 영실코스로 내려오면서 서산에 노을이 내려앉을 때 풍광입니다. 이렇게 늙어갔으면 하고 생각해 봅니다. 더보기
가을산은 언제나 그리움이다 가을이 성큼성큼 다가옵니다. 염장을 지릅니다. 새벽이면 이불을 찾게 됩니다. 여자들은 봄을 좋아하듯 남자들은 대개 가을을 좋아합니다. 저도 그렇고요. 은행잎이 바람에 날릴때 차중락의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을 흥얼거리며 한라산을 찾을 생각을 하니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더보기
라이카 M를 만지작.... 라이카 M를 들여다 보며, 이 놈의 성능을 테스트해 봅니다. 사진을 찍는다며 기변도 워낙 많이 해 가족들에겐 죄지은 마음으로 살아 갑니다. 전엔 필름 R을 사용했었는데, 언제부터 카메라 무게를 느끼는 나이가 되어, 방출하고 M를 만지작 거리며, 흝어보고 있습니다. 렌즈마다 특성이 있어, 사용감을 알지못해 애간장을 태우곤 합니다. 습작뿐이겠죠. 베란다에서 영화간판등 흑백으로 테스트를 했는데, 좋아 보이는 것 같습니다. 라이카사도, 또 M9 풀프레임을 곧 출시한다는 소식이고, 무려 값이 1천만원을 한답니다. 렌즈 '노틱스' 1.2는 발매한지가 약20여년(?)인데 중고값이 엄청납니다. 1천4백정도인데 구매자가 많아, 품귀현상이라니....., 더보기
달은 얼마나 이지러질까 "갈 땐 빈손이었지만 올 땐 보름달 하나씩 품고 왔지요." 사람들이 돌어온 도심은 활기가 넘치고, 그럴수록 외로운 사람들이 있다. 공원 벤치에 누워 귀성도 못한 눅눅한 가슴을 말린다. 할머니는 벼 널고 고추 털고, 또 서린 세월 말리시겠지, 오늘밤, 달은 얼마나 이지러질까. -사진은 아파트 인근 공원에서 찍은 것. 이곳 가을 단풍은 저 만치 인것 같습니다.- 더보기
秋夕에 문득! 작은 이익을 밝히면 큰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추석연휴를 맞아 고향을 찾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 글 한편이 추석연휴에 풍성한 지혜로 남기를 바랍니다. ‘논어’는 동양사상의 근본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노자의 ‘도덕경’과 공자의 논어를 두 손에 나누어 쥐고 이 세상을 살아간다면 항상 두 분의 선생을 모시고 사는 것과 같습니다. ‘논어’에는 공자의 말씀이 있고 또한 공자가 제자들과 서로 문답을 나누는 장면이 많이 나옵니다. 이 책에는 기능적인 지식 같은 것은 없습니다. 오로지 사람이 되는 법과 살아가는 법, 그리고 인간이 자기 미래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 것인가 등에 관한 말씀들이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되는 법을 배우려면 ‘논어’보다 더 좋은 책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논어’에는 다음과 .. 더보기
가을 합창 숲속에 숨은 가을, 팔랑 바람소리에 놀라, 후둑후둑 도토리 비오듯, 툭, 투둑 알밤, 조롱박, 지붕위에 하양속살, 바스락바스락 길 떠나는 나무들, 한들한들 손 흔드는 코스모스, 찌르르 풀벌레 울음 이슬로 맺혀 또르르, 탱탱한 음자리 뱅뱅.......... 귀열면 가득한 가을 합창, 늦더위 숨죽인다. Note: 철마 어느 농원을 두어 번 갔습니다. 갈 때마다 이곳이 분명 부산인데 마음의 고향인 제주를 생각하게 합니다. 유년시절 추억이 소록소록 떠올라 한참 머뭇거리곤 했습니다. 그 마음을 글로야 다 옮길 수야 있겠습니까만, 잔상(殘像)이 떠오르는 건 나이가 든다는 것이겠지요. -사진은 제주도에서 찍은 것입니다.- 더보기
가을이 짙어져 간다 - 사진들은 지난 20일 '제주' 일출봉, 용눈이오름 등 에서 찍은 것입니다.- 가을이란다. 가을이 보이는 것이다.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산에서,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움츠리며 걷는 샐러리맨들의 표정에서, 그리고 화사한 햇빛을 받아 붉게 타오르는 사과의 색깔에서 가을이 보이는 것이다. 가을이 들린다. 귀뚜라미의 가냘픈 소리에서, 바스락거리는 낙엽의 소리에서, 그리고 바람소리에서 가을이 들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한낱 옛 얘기일 뿐이다. 지금은 아무도 가을을 듣고, 가을을 보지도 않는다. 볼 수도 없고 들을 수 없는 게 도시의 가을이다. 나무들은 단풍이 지기도 전에 시들어 가고 있다. 아무 곳에서도 이제는 귀뚜라미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낙엽도 가을의 낭만이나 감상을 조금도 불러 일으켜 주지는 않는.. 더보기
영천 국가유공자 묘역에서 부처님이 직접 말씀하신 초기경전인'숫타니파타'에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인간적으로 성숙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순간순간 나누어 가질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이치에 맞게 행동하는 길, 인간의 도리에 맞게 살아가는 길이다./라고 했습니다. 사진설명: 보훈처가 관리하는 국가유공자 묘역인 경북 영천 '충혼묘'에 다녀 왔다. 장례 집 아해들이 잔디밭에 누워 재잘 거리는 모습을 한컷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