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포구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산 일출봉 사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는 '형태와 색, 그리고 빛'이다. 그러나 사진은 빛에 특별한 무게를 둔다. '형태'는 보편적이고 설명적이고 논리적이다. '색'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정서적이고 심리적이며 개인적인 영역이다. 더보기 그래도 ... 파도야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유치환 님의 시구가 파도를 친다. 고향 포구에 내리 이틀이나 파도를 보러 갔다. 그러나 그 옛날 파도는 아니었다. 포구에 닿자마자 철썩이는 파도는 무슨 주문을 외고 있는 것 처럼 들려와 귀를 막아야 했다. 왜 이리 성을 내고 있을까. 귀를 막아보기도 했다. 그러나 막무가내였다. 은빛파도는 끊임없이 철썩철썩 요란하게 모래밭을 내려친다. 꼭, 인공섬을 탓하는 자연의 소리로 들린다. 고향의 향취가 물씬 풍기는 그 유년시절의 '맥여'는 인공섬으로 둔갑하여 고향을 그리는 출향인들에게 씁쓸함과 안타까움을 안겨준다. 더보기 이곳에서 성찰을... "인간은 보편적 죽음 속에서, 그 보편성과는 사소한 관련도 없이 혼자서 죽는 것이다. 모든 죽음은 끝끝내 개별적이다. 다들 죽지만 혼자서 자신의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것이다." 고향 바닷가 시흥포구, '영등하르방'이라고 불리는 신앙적 표지물. 그 옛날, 마을 주민들은 이 '영등하르방'에 "안녕"과 "풍요"를 기원 해 왔었다. 아늑한 장소에(?) 위치해 있다가 언젠가 부터 바닷가 가까운 곳에 이렇게 우뚝 서 있다. 역사도 기록되어 있다. '정자'도 마련돼 있다. 피곤한 길손들의 쉼터이고 배려이다. 세상은 하루가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과거의 믿음인 순박한 주민들이 모태인 양 섬겼을 '영등하르방'에서 오늘을 생각케 한다. '유년시절, 할머니와 같이 갔던 기억이 떠 오른다. 그때 무속인들은 굿을 하곤 했었다. 더보기 결이 고운 사람들 자연이 너무 아름다워서 눈물이 다 난다. 더보기 마음의 고향(48) 가족이 함께 갯벌에서 반지락 작업을 한다. 행복해 보인다. 아비는 찡그린다. 바지 가랭이를 잡고 얼굴을 쯩그린다. 아비는 빨리 집에 갔으면 하는 모습이다. 휴일인데 집에 가서 쉬고 깊은 표정이다. 그러나 가족들은 바닷가 갯벌에서 하루가 그리 좋을 수 없다. (2015.3.21.) 더보기 마음의 고향(35) 살다보면 놓아야 할 것이 있고 지켜야할 것이 있습니다. 놓아야 할 것을 놓지 못하고 지켜야 할 것을 지키지 못할 때 삶은 괴로운 것이 됩니다. 놓아야 할 때를 알고 지켜야 할 것들을 지켜 나갈때 삶은 순리에 따르는 것이 됩니다. 이젠 그럴 나이가 된 것 같습니다. 고향에 허공(?)같은 집 한채... 더보기 마음의 고향(34) 고향 앞 바다 시흥포구, 아침 6시경 아침해가 찬란하게 떠 오른다. 연인(?)들이 풍광을 사진에 담고 있다. 더보기 마음의 고향(32) 새벽 바람을따라 성산 일출봉 해안까지 나의 집에서 7분 정도다. 이 사진을 직업한 날도 승용차로 도착하니...아! 이런 풍광이... 가끔 고향에 가서 이곳에 들렸지만 이런 풍광은 처음이다. 모래에 그린 빛의 찬란함..그 환상적이다. 더보기 마음의 고향(28) 24일 새벽 5시경 '용눈이 오름'으로 향했다. 밤 날씨가 좋아 별이나 볼 까해서 나선 것이다. 그런데, 얼코사니 타고 가는 농업용차가 '라이트'가 켜지지 않아... 갈까 말까 망설이다 길을 대충 알고 있어, 더듬거리며 15분여를 달려 갔다. 도착하니ㅡ 어둠컴컴해 차에서 기다리고 있었으나. '용눈이 오름'을 찾는 분이 보이지 않았다. 핸드폰을 들고 해가 몇시에 뜨나를 보니 5시 40분경이었는데, 아니 6시 40분이였다. 눈이 침침하다 보니,잘못 체크 한 것이다. 이게 늙어서 그런것이겠지... 생각하니 마음이 편하다. 그러나 산책로를 들어서니 이슬에 촉촉함이 느겼다. . 제주의 맑은 공기...참 기분이 상쾌하다. 아니, 그런데 이상하리 만큼 '용눈이 오름'을 오르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았다. 한참을 올라 일.. 더보기 마음의 고향(27) 아침 바다가 싱그럽다.바다는 한숨을 쉬며 조개를 핥았고모래게들은 집에서 나와 아침을 찾아 다닌다. 희끗한 구름이 쉴새 없이 태양 앞을 지나쳐그럴 때마다 대지는 숨이라도 쉬는 듯이 슬퍼보인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