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흥포구

고향 바다..기억의 저편(10)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하고 묻는 분들이 많다. 나는 "요즈음 늙는 맛이 황홀하오."라고 대답하며 웃는다. 제주 성산 시흥포구 모래사장이다. 10분거리에 성산일출봉이, 섭지코지, 바로 바다 앞에 우도섬이 보인다. 더보기
기억의 저편 (9) 파도에 파인 모래 둔덕... 시흥 포구이다. 더보기
마음의 고향 "가슴은 따뜻하고 영혼은 자유롭다" 더보기
아! 2013년이 간다 세월이 쏜살같습니다. 어제든가 했드니 벌써 올해가 저물어 갑니다. 12월 말이면 고향이 생각납니다. 왜 그런지. 그 센티멘탈한 이유를 모르고 산지가 오래입니다. 그곳에서 9살까지 유년시절을 보냈는데, 왜 요즘은 그리운지. 할아버님은 생전에 "사람들 앞에서든 혼자 있을 때든, 결코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 고 말씀하셨다. 나는 살면서 그 말씀을 생활의 철칙으로 삼고 살고 있습니다. 평범하면서도 무서운 말 입니다. 고향에 가면, 할아버님과 할머님이 함께 한 묘소를 찾습니다. 그리고 절을 합니다. 고향은 크게 말하면 절 하는 곳입니다. 이 그림도'제주'시흥포구' 입니다' 여름철에 집사람과 함께 반지락(조개)를 캐며 찍어둔 것 입니다. 이렇게 아름답습니다. 제주가 한라산이고 제주이여서 아름답다 합.. 더보기
별을 헤며(2) 유년 시절이 떠 오른다. 밤 하늘을 보면, 별들이 꼬리를 문다. 지난해, 유년시절 뛰 놀던 '시흥포구'에서 별을 찾았다. 기억이 까마득해 북두칠성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은 변한 포구 모습이지만 옛날 포구 모습이 그래도 남아 있다. 가끔 제주 시흥, 이곳에 가면 밤 바닷가를 거닐며 그 북두칠성을 찾곤 하다. 아! 옛날이여...., 더보기
별을 헤며... '고개가 아프도록 별을 올려다 본 날은 꿈에도 별을 봅니다' 시어가 예쁩니다. 어린시절엔 별들이 참 많았다. 뽕나무 오디 열매처럼 다닥다닥 하늘에 붙어 떠 있던 별들을 보면 신비하고 아름다웠다. 북두칠성은 할머니의 국자처럼 언제 보아도 정겨웠다. 산너머 흘러가는 은하수는 항상 어린 나를 꿈꾸게했다. 떨어질때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별똥별은 마냥 내 마음을 설레게 했다. 풀 벌레 우는 소리따라 자꾸만 늘어나는 별들을 세며 잠들던 밤은 얼마나 행복했던가! 별처럼 반짝이는 기쁨으로 제 자리를 지키며. 때로는 혼자일 줄도 알며 살면 얼마나 행복할까. 더보기
고향...절하는 곳입니다 고향.. 조상을 찾아 절하는 곳입니다. 추석을 앞두고 자손들이 조상묘를 찾고 벌초를 하러 가는 때입니다. 저도 고향, 벌초를 생각하면, 설레임부터 찾아 옵니다. 젊은 시절, 그저 그렇치 생각하고 했었는데, 나이들며 조상과 고향이 그리워지는것은.... 고향, 생각만 해도...감성적일까요, 아니, 나의 뿌리가 자연에 회귀해,,,나를 기다리는 곳, 고향으로 갈 채비를 하고 있는 자신을 생각할때, 가슴이 벅찹니다. 사진은 고향 시흥포구에서 갯벌이 들난후 나의 마음을 담았습니다. 더보기
내고향 바닷가 추억 사진은 지난 7월 제주 성산읍 시흥리 포구에서 발견한 꽃. 나는 유년시절 이곳에서 자랏다. 약 60여년전일이다. 생각하고 싶지 않은 시절이야기다. 그때 시흥포구는 정말 청정한 지역이다. 조그만 어촌이나 지금 생각하면 그때가 아름다운 마을이었다. 그때 송낭코지 포구(성창)에서 갈치를 대나무에 메어 돌 구멍에 넣으면, 끼들이 금방 달라 붙어 약 한 시간 정도면, 가득 잡았다. 그것도 참끼를 . 집에 돌아와, 끼를 돌도구에 넣고 , 찍어서 보리죽을 끓여 먹었던 기억이 난다. 또 음력 썰물인 보름경에 매개동산에 고기를 낚으러 갈려고, 미끼(이깝)를 잡았던 추억도 가물가물 떠 오른다. 그때, 모래사장에 제주방언으로 '모래갱이'가 보이면 쫓아 가면 어찌나 빠르던지 모래 속인 집구멍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그 구멍에 .. 더보기
마음의 고향(27) '올레길'이 웨딩사진 촬영 장소로.. 제주 시흥포구 '1올레'길에서 우연히 포스팅했다. 더보기
마음의 고향(33) 고향, 제주는 모든 날들이 아름다워요, 해가 뜨면 망망대해, 해가 오르면 파도, 정말 좋아요, 나는 그게 사라질 걸 알아요. 내가 늙어가고 쓰러지니까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쏟아졌다가 이내 사라져 버리는 저 햇살과 같은, 없어질 걸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의 기쁨이 '덧 없다'는 것이다. 만약 내가 '''하더라도 10여년 후면 없었질 거예요. 흙속으로 돌아갈 겁니다. 그래서 허망한 거고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