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

오름을 찾아서(4) 용눈이 오름, 더보기
오름을 찾아서(3) 고 김영갑 사진가가 카메라에 담아 명소로 등장한 '용눈이 오름' 더보기
오름을 찾아서(2) 제주 다랑쉬 오름 앞 '아끈 다랑쉬 오름' 더보기
마음의 고향(12) 11월 29일 제주 를 찾았을 때 찍은 것이다. 보리를 파종 막 흙을 뚫고 나와 봄 맞이 채비를 하고 있다. 11월24일 제주 올레길 마지막 21코스가 개장되었다. 종달리 지미봉에서 바라본 성산 앞바다, 성산 일출봉이 보이고, 오조리 오름이..., 또. 시흥리 조개체험장이 보인다. 더보기
봄 날은 간다 몇 년전 시인 100명에게 애창곡을 물었더니 '봄날은 간다'(손로원 작사, 박시춘 곡)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다. '시인 세계'의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노랫말'조사에서 였다' 대중가요가 시인들의 애송시 대접을 받은 셈이다. 천양희 시인은 '이 노래만 부르면 왜 목이 멜까'라고 했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라는 첫 구절을 부를땐 아무렇지도 않더니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따라 울던' 이 대목을 부르고 나면 나도 모르게 슬픈 무엇이 느껴졌고 눈물이 나려고 했다. '봄 날은 간다' 란 제목을 단 시도 많다. '이렇게 다 주어버려라/ 꽃들지고다/(....) /지상에 더 많은 천벌이 있어야겠다./ '봄 날은 간다'/고은은 봄날의 허무속에서 퇴폐와 탐미를 찿았다. 안도현은' 꽃잎과 꽃잎 사이 아무도 .. 더보기
고향...그리움을 깨우다 내 삶의 한때, 렌즈를 통해서, 우연히 하나의 시간과 공간에서 딱 한번 만난 그 때 그곳의 그리움이다. ‘산 수국’을 찍고 휴양림을 걷는 것이 너무 행복해서 시간이 그대로 멈추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지독히 매혹적인 그리움이 남는 곳 이었다. ‘제주’ 하면 아무리 힘들어도 힘이 솟는다. 왜 그럴까. 나이 들어, 아니면 유년시절 슬프고 아득함이 각인돼 그럴까? 지난 9일 제주를 당일치기로 산 수국을 찾아 절물휴양림에 갔다 왔다. 그 길게 내린 길의 스펙터클이 너무 좋아 홀로 걷고 싶은 길이었다. 고독과 그리움의 풍경이었다. 안개가 자욱한 ‘용눈이 오름’ 이 어떤 모습일까? 그러나 앞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한번 올라가야지 하며 오른 ‘용눈이 오름’은 뽀얀 안개로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다. 난생 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