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

제주의 바람 지난 20일 제주에 다녔왔다. 바람의 제주라 하지만 정말 세찬 바람이였다. 성산 섭섭코지에 가는 길에서 한 컷햇다. 그 바람속에 외국인이 모래사장을 걷고 있다. 낭만적이다. 더보기
나의 고향...수선화 "모든 것은 변하지만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제주 성산 시흥리 멀미오름 인근 농원의 노란 수선화. 더보기
고향 바다..기억의 저편(10)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하고 묻는 분들이 많다. 나는 "요즈음 늙는 맛이 황홀하오."라고 대답하며 웃는다. 제주 성산 시흥포구 모래사장이다. 10분거리에 성산일출봉이, 섭지코지, 바로 바다 앞에 우도섬이 보인다. 더보기
기억의 저편 (9) 파도에 파인 모래 둔덕... 시흥 포구이다. 더보기
고향의 말 귓가에 귀에 익은 말투가 머뭅니다. 타향에서 만난 내 고향의 말. 그 말꼬리가 내게 친근감을 갖게 합니다. 같은 고향 사람이라는 이유 하나 만으로도 반가워지는 마음, 지방색이기보다 그 어투에 끌리기 때문입니다. 삶이 바빠지면서 우리들 마음도 참 많이 건조해졌습니다. 고향 집 우물처럼 고이던 정이 사라지고, 우리들 마음의 고향도 이미 시들어 가고 있습니다. 고향이 말투 하나가 반가운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생각이 듭니다. 말투 하나에 반가워 손잡고 기꺼워하던 모습을 언제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고향이 고향 아닌 모습으로 변하고, 우리 역시 반가움에 손잡던 그때의 모습을 이미 잊은 것 같습니다. 삶의 따뜻했던 시간들, 그래서 고향의 말투 하나에도 고향을 느끼던 시간들, 그 시간을 다시 만날 수 있는 것은 마.. 더보기
이곳에 다시 가련다 제주 용눈이 오름, 제주인들은 그저 오름이니했는데, 김영갑 씨는 이곳에 카리라 앵글을 맞춰 세상을 살다 떠났다. 가끔 제주에 갈때 이 오름에 간다. 영화 '지슬'도 촬영을 했고, 펑퍼짐한 둔덕(?)인데 찾는 사람들이 김영갑 효과 탓으로 관광명소가 되었다. 더보기
길 위에서 나는 길을 사랑한다. 길 위에서 받은 선물과, 길 위의 열정과 사랑, 그리고 수많은 영감과 인연을 늘 보석처럼 간직하고 있다. 하긴 무슨 말이 필요하랴, 인생이 바로 길 위에서 가 아닌가. 더보기
아! 2013년이 간다 세월이 쏜살같습니다. 어제든가 했드니 벌써 올해가 저물어 갑니다. 12월 말이면 고향이 생각납니다. 왜 그런지. 그 센티멘탈한 이유를 모르고 산지가 오래입니다. 그곳에서 9살까지 유년시절을 보냈는데, 왜 요즘은 그리운지. 할아버님은 생전에 "사람들 앞에서든 혼자 있을 때든, 결코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 고 말씀하셨다. 나는 살면서 그 말씀을 생활의 철칙으로 삼고 살고 있습니다. 평범하면서도 무서운 말 입니다. 고향에 가면, 할아버님과 할머님이 함께 한 묘소를 찾습니다. 그리고 절을 합니다. 고향은 크게 말하면 절 하는 곳입니다. 이 그림도'제주'시흥포구' 입니다' 여름철에 집사람과 함께 반지락(조개)를 캐며 찍어둔 것 입니다. 이렇게 아름답습니다. 제주가 한라산이고 제주이여서 아름답다 합.. 더보기
별을 헤며(2) 유년 시절이 떠 오른다. 밤 하늘을 보면, 별들이 꼬리를 문다. 지난해, 유년시절 뛰 놀던 '시흥포구'에서 별을 찾았다. 기억이 까마득해 북두칠성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은 변한 포구 모습이지만 옛날 포구 모습이 그래도 남아 있다. 가끔 제주 시흥, 이곳에 가면 밤 바닷가를 거닐며 그 북두칠성을 찾곤 하다. 아! 옛날이여...., 더보기
해질 무렵...한라산(1) 제주 우도에서 바라본 석양. 마음이 풍요롭습니다. 저무는 겨울의 한라산의 바람소리를 듣는다. 해는 서산에 기울고 강물은 바다에 흐른다. 천리 밖을 보려는가. 다시 높이 더 높이 오르게.. 더보기